본문 바로가기
부동산/부동산 특별법

양도소득세 정리

by 티산 : 티끌모아 태산 2020. 10. 9.
728x90
반응형

#양도 소득세란 무엇인가?

양도 소득세란

부동산을 양도하면서 생긴 차익에서 나라에 일정 비율 지불하는것

 

#양도소득세를 절감하기 위한 방법은?

부동산을 오랫동안 보유&거주하고 있어야 하는것입니다.

2020 617부동산대책과 710부동산대책을 통해서 

많은 대출 규제와 세금강화가 되었습니다.

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경매를 통해 부를 창출하려다가 추춤하게 되었습니다

하지만 할수있기에 도전해보시면 좋을거같습니다.

 

#양도소득세 기본세율

기본 세율

양도소득기준

세율

누진공제

1,200만원 이하

6%

X

4,600만원이하

15%

108만원

8,800만원이하

24%

522만원

1.5억원이하

35%

1,490만원

3억원이하

38%

1,940만원

5억원이하

40%

2,540만원

5억원초과

42%

3,540만원

 

#양도소득세 개정안

양도소득세제상 주택 수 계산시 분양권 포함(’21.1.1.이후 취득분부터)

1세대1주택자·조정대상지역 내 다주택자 등 양도소득 제상 주택 수를 계산할 때 분양권을 포함하여 주택수 계산

1세대 1주택(고가주택)에 대한 장기보유특별공제율 적용 요건에 거주기간 추가(’21.1.1. 이후 양도분부터)

보유기간 연 8% 공제율을보유기간 4%+거주기간 4%로 조정

#보유&거주기간에 따른공제율 혜택

기간()

3

4

5

6

7

8

9

10년 이상

현행(%)

보유

24

32

40

48

56

64

72

80

개정(%)

보유

12

16

20

24

28

32

36

40

거주

12(8*)

16

20

24

28

32

36

40

합계

24(20*)

32

40

48

56

64

72

80

* 보유기간이 3년 이상(12%)이고 거주기간이 23(8%)인 경우 20% 적용

2년 미만 보유 주택(조합원입주권·분양권 포함)에 대한 양도 소득세율 인상(’21.6.1.이후 양도분부터)

(단기) 1년 미만: 40% 70%, 1~2: 기본세율 60%

 

 


[현행] 기본세율 + 10%p(2주택) 또는 20%p(3주택 이상)조정대상지역 내 다주택자에 대한 세율 인상(’21.6.1.이후 양도분부터)

[개정] 기본세율 + 20%p(2주택) 또는 30%p(3주택 이상)

예시)

1억원주고 산 아파트가 있었는데
5년이상 보유, 5년이상 거주하고
2억원으로 매도했을시 양도소득세는 얼마인가?

->실질 양도 소득세는 얼마냐?
양도차익 보유기간이 2년이상이니까 기본세율적용되어 35%
1억의 35%인 3500만원이 양도소득세입니다. 하지만 5년 보유,거주로 40% 공제가되서
3500만원의 40%인1400만원이 절세 되고 누진공제 1490만원이 추가로 되어

3500만원+1490만원-1400만원으로 3590만원의 양도 소득세금이 발생 되는 것입니다!

728x90
반응형

댓글